화합을 위한 다리
1992년, 구 유고슬라비아 공화국에서 전쟁이 발발했을 때, 예센코 크르포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수도 사라예보에서 건축학을 공부하고 있었다. 전쟁 중 잠시 휴전이 있었을 때, 크르포는 임시로 프라하에 있는 사촌 집에 머물러야 했다. 원래는 잠깐이라고 생각했으나, 유고슬라비아 해체 과정에서 발생한 여러 민족 간 충돌 중 하나인 이 전쟁은 1995년까지 이어졌다. 보스니아에서는 약 10만 명이 전쟁으로 목숨을 잃었고, 200만 명 이상이 피난길에 올랐다.
크르포가 고향인 모스타르로 돌아온 것은 1998년이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남부의 산속에 자리한 이 도시는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네레트바 강 위에 세워진 오스만 제국 시절부터 이어져 온 우아한 돌다리로 유명했다. 55세의 키 크고 날씬한 크르포는 전쟁이 끝난 후 고향으로 돌아와 도시 재건을 돕고자 하는 강한 열망을 느꼈다고 한다. 그는 당시를 회상하며, "모든 것이 파괴되었으니, 내가 엔지니어로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죠"라고 말했다.
모스타르 건물의 약 70%가 전쟁으로 심하게 손상되거나 파괴되었으며, 도시의 이름을 딴 16세기 건축물인 스타리 모스트 다리도 예외는 아니었다. 오스만 제국 건축의 걸작인 이 석조 아치는 끊임없는 포격으로 인해 무너지고 말았다.
복구가 필요한 것은 건축물뿐만이 아니었다. 한때 지역에서 가장 민족 간 결혼이 많았던 모스타르는 이제 네레트바 강을 경계로 보스니아계 크로아티아인과 보스니아의 주요 민족 중 하나인 보슈냐크인으로 나뉘게 되었다. 이는 보스니아 전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모습이었다. 전쟁을 종결시킨 데이턴 평화 협정은 보스니아를 온전하게 유지했지만, 민족 간의 경계선을 강화하고 약한 중앙 정부를 남겨두었다.
이러한 지속적인 정치적 교착 상태 속에서 모스타르 로타리클럽은 정치인들이 이루지 못한 것을 이루고자 했다. 2002년에 설립된 이 클럽은 회원들의 기억으로는 전쟁 이후 모스타르에서 등장한 최초의 다민족 단체였다. 이 클럽을 처음으로 조직한 여섯 명의 사업가 중에는 크르포의 아버지도 포함되어 있었다. 클럽은 "사람들을 연결하는 매우 긍정적인 출발점이었고, 특히 도시가 매우, 매우 분열된 모스타르에서 그러했다"고 크르포는 말한다.
남아 있는 몇 안 되는 창립 회원 중 한 명인 70세의 마린코 “마카” 마리치는 갈등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는 로타리의 평화 구축 방식에 매료되었다. 현재 부동산업에 종사하는 은퇴한 경제학자인 마리치는 "모스타르에는 관용의 상징이 될 수 있는 클럽이 필요했다"고 말한다.
문화와 동료애
모스타르 로타리클럽은 지역 문화를 기념하는 것을 지역사회를 구축하고 즐거움을 추구하는 중요한 접근 방식으로 삼고 있다. 몇몇 회원들은 음악을 연주하는데, 예세니코 크르포 또한 그 중 하나다. 그는 모스타르의 뜨거운 여름을 기념하는 ‘45도씨’라는 이름을 가진 록 밴드의 기타리스트이기도 하고, 모스타르키 탐부라시라는 전통 음악 그룹에서 롱 넥 류트인 탐부리카를 연주한다.
크르포는 어린 시절부터 음악을 해왔다. 초등학교 시절 그가 속한 밴드의 이름은 셰익스피어였다. "12살 때 처음으로 돈을 벌었어요," 그는 웃으며 말한다.
크르포는 카페, 바, 레스토랑, 파티 등에서 공연해왔으며, 전쟁 중에도 이슬람 문화 단체인 베하르(Behar)에서 공연한 적이 있다. 최근에는 로타리클럽 회원들, 예를 들어 피아노를 전공했으나 나중에 외과의가 된 마르티나 솔지치와 같은 사람들이 그의 공연을 즐긴다.
전쟁이 시작되기 전에는 "우리는 한 가족 같았다"고 그는 말한다. 그런 유대감을 다시 만들어가기 위해 클럽의 첫 프로젝트가 무엇이어야 하는지는 자명했다.
회원들은 분열된 것을 다시 잇기 위해 스타리 모스트 다리 재건에 나섰다. 두 개의 요새화된 탑을 연결하는 이 다리는 오랫동안 평화와 우정의 상징이었고, 도시 생활과 정체성의 중심이었다. 수십 년간 용감한 다이버들이 다리의 가장자리에서 약 23미터 아래 강으로 뛰어내리는 다이빙 대회를 열기도 했다. 많은 예술 작품에 이 다리가 묘사될 정도로 사랑받았으며, 지역사회는 원래의 채석장에서 동일한 돌을 사용해 원형 그대로 복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시 모스타르 클럽의 21명 회원 중 건축가, 토목 기사, 시 행정관을 포함한 다섯 명이 유네스코의 후원 하에 다리 복원에 참여했다.
2004년에 완공된 이 다리는 화해의 상징이자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의 중심이 되었다. “이것은 여전히 사람들을 하나로 묶는 우리들의 유산입니다”라고 마리치는 말한다.
도시에 대한 신념을 지키다
현재 클럽의 회원 수는 13명으로 작지만, 보스니아의 주요 3대 민족 그룹을 대표하는 인물들과 두 명의 여성 회원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은 서로 공감하고 이해하는 마음으로 하나가 되었다. 클럽 회장 시난 메르지치는 농담으로 “모두가 와인을 좋아한다”고 말한다. 그는 “선행 외에는 아무 것도 바라지 않기 때문에” 2016년에 클럽에 가입했다. 그 선행 중에는 고아들을 위한 장학금, 장애 아동을 위한 휴가 지원, 로마니 소녀들의 교육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등이 있다. 또한 클럽은 노숙인을 지원하는 비영리 단체 미노레스의 자금을 감독하고 있다.
회원들은 또한 자원봉사를 통해 아동을 치료하는 치과의사들에게 장비를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 프로젝트는 클럽의 많은 프로젝트들이 그렇듯, 한 회원이 필요를 발견하면서 시작되었다. 일반 및 흉부 외과의사 마르티나 솔지치는 같은 도시 병원에서 일하는 치과의사들과의 대화 중 이러한 필요성을 알게 되었다. 쾌활한 성격의 43세 솔지치는 어릴 적 사라예보에서 자라며 모스타르에 있는 친척을 자주 방문했다. 강이 흐르는 푸른 모스타르는 이 지역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시라고 그녀는 말한다.
그러나 솔지치는 2008년에 의학 교육을 마친 후에야 비로소 이 도시를 자신의 고향이라 부를 수 있었다. 전쟁 중 그녀와 가족은 사라예보를 떠나 크로아티아로 재정착해야 했다.
현재 그녀는 주로 크로아티아에서 살며 일하고 있지만, 2021년 가입한 클럽과 모스타르를 포기하지 않고 있다. "오랜 세월 동안 이 도시는 정말 황폐해져 있었어요"라고 그녀는 말한다. “아무도 신경 쓰지 않았죠.”
그녀와 다른 클럽 회원들, 예를 들어 즐라탄 불코 같은 사람들이 이러한 상황을 바꾸고 있다. 전쟁 중 인도주의 단체에서 일했던 70세의 불코는 2005년 클럽에 가입했으며, 두 차례의 클럽 회장을 지낸 "클럽의 대부"로 불린다. 그는 클럽의 다민족 구성이 가장 중요한 특성이라고 믿는다.
솔지치는 이에 동의하며 클럽의 규모에 비해 영향력이 크다고 말한다. "우리는 큰 일을 하지는 않지만, 우리가 하는 일은 정말로 의미가 있죠."
이 이야기는 영국이 자금을 지원하는 모스타르 프로젝트의 펠로우십의 지원을 받아 카티야 센겔이 취재했다. 모스타르 프로젝트는 도시 내 공공 공간을 활성화하여 시민, 문화, 경제적 삶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4년 11월 로타리 영문 매거진에 게재된 기사입니다.